배경
안녕하세요 zeromm입니다.
저는 지난 3일 동아리 연주회 모두 마치고 전주에서 놀고먹고 하고 있습니다.
오늘 교수님과 수업도 해야 하는데, 같이 하시는 선배님들께서 바쁘셔서 내일로 미뤄졌네요. 그 덕에 밀린 포스팅이나 한번 달려봅니다.
이 영화는 제가 고등학교 다닐 적에, 영어 선생님께서 보여주신 영화예요. 아예 다 보여주신 건 아니고, 어떤 의미에서 이걸 알려주셨는데 그건 정확히 기억이 안 납니다. 그렇게 잊고 살다가, 넷플릭스 추천 목록에 딱 뜨길래 킵을 해두고 있었죠. 그래서 지난 토요일에 치킨 뜯으면서 봤었습니다.

줄거리
1999년, 시에라 리온. 내전이 다이아몬드 지역 지배를 두고 벌어졌다.
수천 명이 죽고, 수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그들은 아무도 다이아몬드를 보지 못했다. 무기구입을 위해 밀수거래를 일삼던 용병 대니 아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강제노역을 하던 솔로몬 반디(디몬 하운수)가 유래 없이 크고 희귀한 다이아몬드를 발견해 숨기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아처는 그 다이아몬드가 일생일대의 발견이라는 것과 폭력과 난동이 난무하는 아프리카에서 벗어날 기회를 줄 것임을 알고는 그것을 얻기 위해 그에게 접근한다. 하지만 이 다이아몬드는 솔로몬에게 소년병으로 끌려간 아들을 구하기 위한 목숨보다 소중한 것! 다이아몬드를 숨긴 사실이 발각될 즉시 사살 당할 것을 알았지만 솔로몬은 이를 은폐한다.
매디 보웬(제니퍼 코넬리)은 시에라리온에서 폭리를 취하는 다이아몬드 산업의 부패를 폭로하면서 분쟁 다이아몬드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밝히려고 하는 이상주의적 열혈 여성기자이다. 매디는 정보를 얻기 위해 아처를 찾지만 이내 그가 자신을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아처는 매디의 도움으로 솔로몬과 함께 반란 세력의 영토를 통과하기로 결정한다. 아처는 죽음이 도사리고 있는 아프리카를 벗어나기 위해, 솔로몬은 가족을 위해, 매디는 진실을 위해... 그들의 운명을 건 위험한 모험이 시작된다!
총평 (스포 ON)
Then I look around I realise God left this place a long time ago
이 영화의 가장 멋진 대사를 보여달라고 한다면, 이 대사이지 않을까 합니다. TIA(This is Africa)와 함께, 이곳이 지옥과도 같은 곳임을 잘 보여주는 대사죠. 주인공 대니가 죽음을 직감하고, 마지막 여정을 떠날 때, 매디에게 해주는 말이기도 합니다. 어린 나이에 부모님을 잃고, 이 땅에서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다해 싸워왔던 그의 일생이 담긴 말로 느껴졌었습니다.
그 이외에도, 이 영화 전반적인 분위기는 매우 어두웠죠. 아프리카에서 내전과 부패로 온 국민들이 고통받는 모습들이 너무나 잘 보였습니다. 중간중간 자선단체들의 도움과 기자들의 노력들로 환기되나 싶었는데, 그들조차도 이들에게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주지 못합니다. 그래서 아무 희망도, 꿈도 없는 땅. 그래서 대니는 신이 이 땅을 버린 것이 틀림없다고 말할 때, 참 안타까웠습니다.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들
이 영화의 또 다른 시사점은 소년병과 전쟁 이산가족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입니다.
구도가 조금은 복잡하죠. 주인공 대니는 솔로몬에게, 이 저주받은 땅을 벗어날 열쇠로 그 '핑크 다이아몬드'를 요구하죠. 그 핑크 다이아몬드가 묻힌 곳으로 향하기 위해, 대니는 솔로몬의 바짓가랑이를 붙잡고 동행하게 되는데, 그때 솔로몬의 가족들을 찾는 것을 도와줍니다. 대니와 매디의 합작으로 그의 아내와 딸, 그리고 막내가 무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지만, 자신이 가장 아끼는 아들이 내란군에게 붙잡혀갔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 사실을 알고 절망, 아니 절규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죠. 극 내내 다이아몬드의 존재를 숨기기 위해 감정 표현을 매우 절제하던 솔로몬도, 자신의 아들이 자신이 저주하는 이들에게 붙잡혀갔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는, 정말 격한 반응을 보여주죠. 저는 그의 반응이 너무 극을 달려서, 조금은 짐승 같다(?!)라는 느낌이 들정도였습니다. 그렇지만 그의 연기가 거슬리는 건 전혀 아니었고, 오히려 이 이야기의 비극성을 더해주는 것 같아 인상적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의 아들을 찾아가는 것은 대니에게 정말 위험부담이 되는 일이었습니다. 그는 여기까지 솔로몬을 도와준 것도 굉장한 것이라 생각하며 얼른 다이아몬드를 갖고 도망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후에도 얘기하겠지만 그의 무자비한 용병 마인드가 주위 인물인 매디와 솔로몬에게 주로 흔들리게 되는데, 저는 아마 솔로몬이 가장 큰 요인이지 않았나 싶어요,. 솔로몬이 자기 목숨을 내놓고서라도 자신의 아들을 데리고 오겠다는 그의 모습을 보며, 마냥 미친 사람이라고 생각하진 않았을 겁니다. 자신이 9살이 되던 해, 전쟁으로 부모님이 무참하게 살해당한 기억, 그래서 부모님에 대한 어떠한 애정과 따뜻함을 알지 못한 채 살아왔을 그지만, 어쩌면 그의 부모님도 솔로몬처럼 자기 자신을 지키고 싶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대니는 솔로몬을 보며, 자신의 삶의 의미와 목표를 다시금 고민하게 만들죠. 대니와 솔로몬, 그리고 그의 아들. 모두 이데올로기에 희생당한 이들이었지만 (국가를 위해 목숨 바쳐 일한다 / 내란군 / 국가는 썩었으니 우리가 전복시켜야 한다), 거기에서 희생당하고 앉아있을 사람들이 아니었습니다.
l'm exactly where l'm suppose to be
이 대목이 제가 이 영화를 포스팅해야겠다고 느낀 부분입니다.
결국 핑크 다이아몬드를 손에 넣고, 아프리카를 탈출하려고 하던 대니와 솔로몬 일행은 문제에 봉착합니다. 바로, 대니가 부른 헬기가 솔로몬 아들까지 3명을 태우기엔 무리라는 것! 그리고 대니는 설상가상으로 자신의 상사 명령에 불복해 싸운 후, 총상을 입고 굉장히 힘들어합니다. 그런 대니를 보고, 솔로몬은 어떻게든 업고 올라가 비행장으로 향하지만, 이내 대니는 말하죠. 이 핑크 다이아몬드를 갖고 가족들과 함께 영국으로 가라고 말이죠.
그렇게 홀로 남겨진 대니는 자신들을 쫓아오는 군인들을 총으로 쐬며 일생의 마지막을 준비합니다. 자신이 이내 사랑하는 이로 품은 매디에게 연락해, 자신의 일생이 꽤 만족스럽게 마무리되는 것 같다고 말하죠. 그때 이 대사를 말합니다.
이곳이야말로 내가 있어야 할 곳입니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던 것은 일확천금의, 아프리카인들의 피 땀이 담긴 다이아몬드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용병으로 사람들을 윗사람 말들에 따라 죽이고 살리는 일을 했지만, 그 어떠한 만족감을 느끼지 못했을 겁니다. 이제 자유롭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랑하는 이와,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변화하고, 희생하는 인물로 거듭나게 되죠. 그 상황에서 오히려 잘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이 인물의 성격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면서도 입체적인 변화도 함께 보여주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영화 중간중간에 간접적으로 나오던 주제의식도 이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느 곳에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무엇을 위해 살고, 무엇을 위해 일하는지가 그의 삶을 결정짓는 것 같습니다. 솔로몬의 아들이 존재하는 장소가 달라지고, 죄를 저질렀을지언정, 솔로몬은 그런 그를 용서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그래서 믿음과 태도가 행동을 결정짓고, 나아가 삶의 운명을 정한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이 땅에도 희망을 꿈꾸며 살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는 듯했습니다.
다이아몬드의 의미
처음에는 다이아몬드는 가난하고 폭력적인 아프리카를 구원할 어떠한 보물처럼 여겨집니다. 그리고 이를 약탈하고 뺏어가려는, 그리고 이로부터 지키려는 어떠한 이익 싸움처럼 보이게 만들죠. 하지만 극이 전개되다 보면 이 소재의 의미는 완벽히 탈바꿈됩니다. 다이아몬드도 결국 땅에서 비롯되고, 그 땅은 이미 많은 이들의 피와 땀으로 얼룩진, 희생의 결과임을 말입니다. 그리고 그 핑크 다이아몬드는 결국, 아프리카의 이 행태를 고발하고 변화시키려는 그 희생의 '증거물'로 다뤄지게 됩니다.
이 세상에 고귀하다고 여기는 것들도, 실은 많은 희생과 노력이 담겨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품게 만든 영화였습니다. 개인적으론 아프리카는 여전히 질병과 전쟁으로 고통받고 있는 곳인데, 그런 나라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 3. 2.
Netflex
참고자료
네이버 : 블러드 다이아몬드 줄거리
블러드다이아몬드 정보 : 네이버 검색
'블러드다이아몬드 정보'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REVIEW >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 600미터] 내 생명을 고공에 몰고야 비로소 느끼는 삶의 소중함 (8) | 2024.04.04 |
---|---|
[파묘] 한국에 오컬트 영화가 나오질 않는 이유 (6) | 2024.03.06 |
[전우치] 무릇 도사란 현실과 상상을 넘나들어야 하는 법! (3) | 2024.02.26 |
[집으로 가는 길] 현대판 주부 부조리극 (2) | 2024.02.19 |
[도그데이즈] 우리네 인생에 견생이 들어온다면 (3) | 2024.02.13 |